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3

수난이대 - 하근찬 줄거리, 등장인물과 작품해설 등 작품 정리 알아보자! 소설 수난이대는 그야말로 2대에 걸쳐 아들과 아버지가 겪는 수난, 즉 계속된 시련을 겪는 두 부자의 모습을 보여주며 잔혹한 민족사를 극적으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대에 강제 징용을 당해 팔 하나를 잃은 아버지 만도와 6.25가 끝나 귀향하지만, 다리 하나를 잃는 부상을 입은 아들 진수. 둘은 슬픈 상봉을 합니다. 아버지는 아들의 부상에 크게 분노하다가도 이내 체념하며 '목숨만 붙어있으면 다 사는거야'라며 막막한 진수를 위로합니다. 둘은 그 후 외나무 다리를 건널 일이 생기는데요, 아버지인 만도가 아들인 진수를 등에 업고 다리를 건너며 막막한 상황에서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박만도 : 수난을 겪는 이 대 중 '아버지'에 해당합니다. 본인의 모습도 비극적이나 아들에게도 비극이 찾아온 불.. 2023. 11. 30.
붉은 산- 김동인 작품 정리, 작품 해설, 줄거리, 등장인물 등 확인! 소설 은 조선인들이 모여사는 만주의 XX촌에서 환영받지 못한 인물 '삵'이 나타납니다. 극 중에서는 의사인 '여'가 만주의 XX촌을 들려 사람들의 생활상을 확인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데요, 사람들을 괜히 괴롭히고 다니던 삵이 조선 소작인 대표 송첨지가 죽음을 당했을 때 이에 유일하게 항거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부정적인 모습이 긍정적으로 변화합니다. 일제 강점기 시기, 생활의 터전을 잃고 조선인들이 이주한 만주에서 여러모로 고통을 받고 있는 우리 민족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엿볼 수 있습니다. 삵 : '정익호'라는 인물의 별명으로, 만주 XX촌에 살며 사람들을 괴롭히는 부정적인 인물이었으나, 송첨지의 죽음을 갚아주기 위해 만주인 지주에게 적극적으로 대항하며 성격의 변화를 보여주는 동적 인물입니다. 결국 본.. 2023. 11. 29.
화수분 - 전영택 작품해설, 줄거리, 등장인물 등 알아봅시다. 극심한 가난에 궁핍한 생활을 하는 주인공 화수분. 화수분은 가난하지만 동시에 선량하고 순박하며, 아내와 어린 두 딸과 가족을 이루며 '나'의 행랑채에 들어와 살게 됩니다. 집의 주인이자 이 극을 이끄는 '나'의 시선으로 화수분의 이야기를 바라보게 됩니다. 시점이 1,2,4,5장에서는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3장에서는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마지막 6장에서는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혼용되며 일제 강점기 시기 추운 겨울날을 배경으로 한 극빈한 사회와 가정환경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설 화수분에는 주인공 화수분과 그의 아내, 나가 나와 극을 진행합니다. 화수분의 가난함에 의해 다른 집에 팔려간 첫째 딸과 유일하게 얼어죽지 않은 막내 딸 옥분, 옥분이를 데리고 가는 나무장수도 극 전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 2023. 11. 28.
산 - 이효석 줄거리, 등장인물과 작품해설 등 작품 정리 소설 이 작품은 주인공 '중실'이 집에서 쫒겨난 뒤 갈 곳이 없어 산으로 들어가 자연을 경험하고 온몸으로 겪으며 그 속에서 산과 함께 동화되는 자연친화적인 소설입니다. 비록 중실 본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억울한 사건으로 인해 산으로 들어가게 되지만, 오히려 자연과의 교감을 하며 자급자족하며 행복을 느낍니다. 소설 산, 이 소설의 등장인물로는 중실, 김영감, 용녀, 둥글개가 있으며, 실제 소설에는 김영감, 용녀, 둥글개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습니다. 중실 : 이 소설의 주인공으로, 김영감네 댁에서 오랜기간 머슴살이를 합니다. 하지만 김영감의 오해로 인해 중실은 집에서 쫒겨나고, 갈 곳이 없던 중실은 산으로 들어갑니다. 산으로 들어간 뒤 자연과의 교감을 느끼며 오히려 행복을 느낍니다. 김 영감 : 중실의 .. 2023. 11. 28.
탈출기 - 최서해 줄거리, 등장인물과 작품해설 등 알아보기 소설 '탈출기'는 박군이라는 주인공이 담담하게 적은 편지로, 고백하는 말투의 고백체 소설입니다. 마음을 잡고 열심히 살아보고자, 조선땅에서 늙은 어머니와 아내를 데리고 간도로 이주도 해보고, 안해본 일이 없다시피 할 정도로 부지런하게 살았으나, 녹록치 않은 현실에 결국 XX단에 가입하게 되었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일제 치하에서 가난함에 몸부림치는 서민들의 모습과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나아지지 않는 살림살이와 형편. 끝내 자신에 대한 조롱과 삶의 부조리함에 대해 저항하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투쟁적인 삶의 결의를 엿볼 수 있습니다. 탈출기에는 박군, 아내와 늙은 어머니, 편지를 받는 김군이 등장인물로 나옵니다. 박군(나) : 정직하고 열심히 살아보고자 간도로 이주하기도 하고, 현실에 충실하고 부지런하게 살고.. 2023. 11. 27.
메밀꽃 필 무렵에 - 이효석 줄거리, 등장인물, 작품해설 등 소설 에서는 1920년대 어느 여름날을 배경으로 합니다. 장터, 산길, 개울, 메밀꽃, 방앗간과 같이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의미하는 낭만적 공간들이 자주 나오며, 그로 인해 자연친화적이고 낭만적인 정취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또한 인간 심리의 순수한 자연성을 내포하고 있는 낭만주의적 소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충주집에서 우연한 계기로 만나, 자신을 몇차례나 도와준 동이와 서로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가, 자신과 같은 왼손잡이라는 점을 들어 혈연적인 관계를 암시하는데요, 여러 신화에서 봐온것과 같이 '아버지 찾기'라는 클리셰 를 담고 있습니다. 허생원 : 본인의 행복하던 젊은 시절만을 읊으며 과거에 집착하고, 현재에는 고독하게 살지만 여전히 비현실적이고 한켠으로는.. 2023. 11. 15.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 주요섭 줄거리, 등장인물, 작품해설 등 소설 는 예배당과 유치원, 학교가 있는 어느 소도시에 사는 어머니와 옥희, 외삼촌이 살고있는 집에 아버지의 친구인 사랑방 손님이 잠시 하숙하러 찾아오면서 시작됩니다. 둘은 서로에 대한 마음이 있지만, 보수적인 시대상에서 보여지는 인습과 윤리에 당다히 맞서기 보다는, 순응하는 두 사람의 슬픈 사랑의 모습이 잘 나타납니다. 어린 화자인 옥희가 들려주는 이야기로, 어머니와 사랑 손님 사이의 이야기를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들려줍니다. 이 때 소설 자체에서는 어린아이 특유의 귀엽고 사실주의적인 문체, 서정적이고 여성적인 색채가 많이 나타납니다. 옥희(나) : 의 화자로, 어머니와 사랑 손님 사이에 일어나는 이야기를 어린 아이의 시각으로 순수하게 얘기해주고 있습니다. 단순히 관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둘 사이의 편.. 2023. 11. 13.
반응형